지난번에는 리플코인(XRP)의 대략적인 특징과 시세에 대해서 언급하였지만 이번에는 리플이라는 코인속에
내재되어 있는 막강한 기능에 대해 해부해보겠습니다.
일단 리플이라는 암호화폐가 나오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역시나 결제시스템이 통신시스템에 비해 적어도 수십년이나
뒤쳐저 있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이 나올 초창기때까지 거슬러 올라가보면 사람들은 제한적이면서도 닫힌 네트워크안에서만 메세지를 서로
주고받을수 있었습니다.
1989년 이전의 컴퓨서브의 이용자는 컴퓨서브의 다른이용자에게만 이메일을 보낼수 있었고, 제니(GEnie)의 이용자는
다른제니의 이용자에게만 메시지를 보낼수 있었습니다.
더군다나 그 당시에는 개별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개별 메시징시스템들을 연결해줄 표준
프로토콜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보통 전자우편이라고 일컫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가 만들어지고나서야 다른 메시지시스템들이
하나로 통합되었고 이것이 오늘날 이메일서비스의 근간이 되는것입니다.
결제시스템의 경우 1980년대의 전자우편과 사실상 다를게 거의 없습니다.
예를들면 미국의 웰스파고 고객은 같은 웰스파고고객에게만 자금을 보낼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국민은행 역시 마찬가지로 국민은행의 고객들끼리만 자금을 주고받을수 있습니다.
(수수료 부담을 원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와같이 단절된 결제시스템들을 연동하기 위해 많은 정산소가 추가되어야만 합니다.
예를들면 웰스파고에서 페이팔(Paypal)의 네트워크로 자금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스위프트를 이용하거나
전자이체(wire transfer) 이용해야만 합니다.
이런 과정들을 거쳐야하니 수수료가 더 많이 발생할수밖에 없습니다.
오늘날 IT분야에서는 대부분의 정보전송이 무료로 전환되었지만 자금전송과정에서는 여전히 벽이 존재합니다.
국내만해도 다른은행들끼리의 이체에서는 단 1만원을 보내려고 해도 1,000원이상의 수수료가 발생하며 신용카드는
인터넷상에서 발생하는 모든거래에 적어도 2%이상의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아마존닷컴의 경우도 결제수수료로 매년 수십억달러를 지불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터넷 시대로 전환된 이후 통신과 금융사이에는 커다란 격차가 생긴셈입니다.
통신은 P2P 및 분산네트워크시스템 덕분에 편리해졌지만 금융은 정산거래의 중앙집중적인 성격때문에
아직도 인터넷이 발명되기 이전인 1960~70년대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중앙집중네트워크는 특허를 취득한 소프트웨어의 기반하에 운영되는 결제시스템과 독립적인 네트워크들이
매우 많기에 자금전송은 느리면서도 비싸고 복잡한 과정이 될수밖에 없습니다.
운영비용을 충당하기 위해서라도 수수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이익을 남겨야하기에 수수료를 될수 있는한
조금이라도 더 높일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리플시스템은 자금전송을 위해 만들어진 범용프로토콜입니다.
마치 SMTP가 공유가 가능한 전자우편 표준을 만들어냈듯이 리플은 공유 결제시스템 표준을 제공합니다.
누구도 리플을 소유하지 않으며 중앙운영자 역시 존재하지 않는 셈입니다.
또한 오픈소스이면서 P2P금융거래에 대해 서로 통신까지 가능합니다.
이렇게 언어로 치자면 종합통역기와도 같은 역활을 하는 리플은 네트워크상의 합의과정을 통해 작동합니다.
분산네트워크가 스스로 정산을 할수 있기에 중앙네트워크 운영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위에 이미지를 보면 알수있듯이 서로 다른통화간 환전이 필요없고 그 과정을 리플코인을 통한 분산통역의
과정을 거쳐 바로 송금이 이루어질수 있으며 수수료는 역시 없습니다.
(위에 통계에서 정확히는 0.0004달러이지만 사실상 없는거나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몇십년동안 저명한 경제학자들은 미국달러나 유로화의 범용성을 훨씬 뛰어넘는 글로벌 통화창설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인 프리드리히 헤이에크는 다중통화모델을 실생활에 직접 적용하는 시대가 올것이라고
예견했는데 그것이 바로 지금의 리플코인인 셈입니다.
세계최초의 이 세상 모든통화에 대한 통역기와도 같은 리플은 헤이에크가 생각했던것보다도 훨씬 더 큰 스케일로
생태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리플의 범용성의 확장은 전세계인들이 어떠한 통화로도 거래가 가능한 자유를 가져다 줄것이라 확신합니다.
'스마트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시세에 거품이 끼는 원리 (0) | 2019.04.26 |
---|---|
암호화폐전망을 예상할수 있는 꿀팁 !!! (0) | 2019.04.25 |
미래에도 여전히 유지되야만 하는 지폐의 중요성 (0) | 2019.04.23 |
이더리움지갑 사용에 관한 꿀팁!!! (0) | 2019.04.23 |
비트코인을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사토시의 철학 (0) | 201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