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비트코인이 나오기도 전에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 종이로 인쇄하는 지폐는 가까운 미래에
사라지면서 구시대의 유물로 취급받을꺼라고 예상할수 있지만 종이화폐의 속살을 들여다보면 매우 큰 장점을
지닌 대체하기 정말 힘든 신뢰수단이라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정부(한국은행)라는 강력한 신뢰주체의 개입으로 한장의 얋고 가벼운 종이화폐는 그 나라 어디에서든지
지불결제수단으로써 막강한 힘을 가질수 있습니다.
종이로 인쇄되는 지폐는 암호화폐처럼 여러노드들의 참여로 진위여부를 확인해야하는 검증과정이 전혀 필요없고
각자 알아서 지니고 필요할때 누군가에게 건네주기만 하면되는 편리한 수단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해외로 나갈일이 있다면 수수료부담을 안고 환전을 해야만 하는 불편한 면도 존재합니다.
요즘처럼 거의 모두가 다 해외로 나가는 횟수가 빈번해지는 글로벌시대에서는 이런 불편함이 더욱 피부로 와닿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실제 사용할때의 그 순간의 간편함이라는 장점덕분에 종이화폐는 시간이 지나 암호화폐가 더욱
활성화가 된다해도 사용될수 있을것입니다.
이미 전자상거래가 활성화가 되는 세상에서 살고있지만 지폐가 여전히 사용되는것과 비슷한맥락입니다.
점점 세상이 디지털중심으로 변화하기 시작하면서 마냥 편리해지는것만 같아 보이지만 그것이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적용되는것은 아닙니다.
디지털문화에 익숙한 젊은계층들에게는 현재의 기회(암호화폐)는 너무도 새롭고 흥분되는 혁명적인 사건임에
틀림없지만 장년층 및 노년층에게는 불편한 요소로 다가올수도 있습니다.
사회구성원들 모두가 받아들일수 없는상태에서 무조건 디지털화만 추구한다면 그것 역시 마찬가지로 독재나 독선이나 별 다를것이 없습니다.
적어도 기술의 발전이라는것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사용자 경험이라는 관점에서 엄청난 격차가 생기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기술의 접근성에 따른 엄청난 격차를 해소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발전의 초입단계일수록 기존의 재화가치 역시 마찬가지로 강조되는것이 중요하다고 볼수 있겠습니다.
노년층의 정보격차문제는 생각보다 심각한 수준입니다.
위의 통계에서도 보면 알수있듯이 50대 중반정도까지는 그래도 양호한 정도이지만 60대부터 조금씩 심각해지기
시작하면서 70대이후는 30% 미만으로 격차가 정말 엄청납니다.
이마저도 간단한 스마트폰 사용법정도에 그치는것을 기준점으로 삼았기에 어플리케이션 사용법 정도로만 넘어가도
그 격차는 위의통계보다도 더 심각하다고 합니다.
금융업무를 보는방식을 살펴봐도 은행지점을 직접 방문하고 종이로 만들어진 통장을 들고다니면서 일일이 검토하는
사람들을 그다지 어렵지 않게 볼수 있습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은행거래를 하는 온라인뱅킹이 이미 일반화가 되었지만, 60세이상에서의 이용률은 여전히
바닥수준에서 맴돌고 있습니다. (8%정도)
게다가 모바일뱅킹은 5% 정도로 더 낮은비율을 보입니다.
아무래도 60대이상 어르신들은 모니터를 장시간 바라보면 젊은사람들보다도 눈이 피로해지기 쉽습니다.
더더군다나 인터넷뱅킹으로 금융업무를 처리한다는것 자체가 고연령대분들에게는 정서적으로 불안감의 정도가
더 강하게 다가오기에 아직도 고전적인 방식을 선호하는 것입니다.
금융서비스란 모든연령대에 걸쳐 편리하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기술적인 면에서 우월하다고 하여 새로운 수단이 기존의 수단보다도 우월하다는 이유만으로 전 연령대에게
강요할수는 없습니다.
종이로 인쇄되는 지폐도 종이만이 주는 까칠한 질감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상당히 존재합니다.
그래서 지폐 역시 마찬가지로 미래에도 여전히 정당한 수단으로써 존재해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언어의 경우를 봐도 다양성과 공존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수 있습니다.
미국이나 캐나다의 경우를 봐도 영어뿐만이 아니라 스페인어, 불어까지 공용어로 인정하고 관공서에 그들의
언어로 된 서류도 따로 구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인종과 언어의 기반하에 다양성이 유지되듯이 화폐도 이렇게 나아가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지폐는 지폐대로 그 중요성이 유지되고 암호화폐 역시 마찬가지로 발전을 하게되면 각각 고유의 영역이
생기면서 서로 공존하는 생태계가 모두에게 이로운 세상이 될수 있을것입니다.
혹시나 30~40년뒤 지금의 30~40대가 70~80대의 고연령대가 되어도 디지털정보력이 익숙해진다면
그땐 종이로 인쇄하는 화폐가 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스마트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전망을 예상할수 있는 꿀팁 !!! (0) | 2019.04.25 |
---|---|
리플코인(XRP)의 범세계적인 결제시스템 (0) | 2019.04.24 |
이더리움지갑 사용에 관한 꿀팁!!! (0) | 2019.04.23 |
비트코인을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사토시의 철학 (0) | 2019.04.22 |
암호화폐 규제와 관련한 올바른 방향 (0) | 201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