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NY 라는 브랜드 앞에 붙을수 있는 찬사는 정말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히 오디오 업계의 공룡이라 불릴만하며 80년대 워크맨 (Walkman) 이라는 제품을 세계적으로 히트시켰으며

세계적 규모의 방대한 음반 레이블까지 보유하고 있는 명실상부 전세계인들에게 익숙한 브랜드입니다.


업그레이드된 보급형 DAP (Digital Music Player) 와 최상급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도 다수 선보였으며

지난 2018에는 2세대 라인업을 통해 DAP를 한단계 더 진화시켰습니다.


그 중에서 이슈가 되는 제품이 바로 이 DMP-Z1 입니다.

단순히 기능으로 따지자면 휴대용 DAP로 분류해야 될 제품이지만 이 제품에 워크맨이라는 호칭이

사용되지 않은데서부터 뭔가 이 제품이 단순한 DAP가 아닌것이 분명합니다.


가격부터가 거의 1천만원에 호가하는 이 심상치 않은 제품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5개의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독립 전원시스템


디지털시스템에서 발생할수 있는 노이즈를 아날로그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DMP-Z1은 디지털단과 아날로그단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디지털단에 1개 아날로그단에 4개의 배터리를 배치하고 각각의 배터리에는 500mF의 대용량 커패시터가 함께 

사용되어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수 있습니다.


2 고화질 아날로그 출력라인


고성능 32bit DAC를 Lch / Rch 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Dual DAC를 구성하여 높은 정보량과 고해상도 음질을

실현할수 있습니다.


3 소니 전용 아날로그 볼륨 노브


DMP-Z1은 모든부품이 초호화 부품으로 만들어졌지만 그중에서도 단연 압권은 금도금처리된 큼지막한

아날로그 볼륨노브입니다. ( 위에 이미지 왼쪽)


기기내부의 볼륨단을 보여주기 위해 상판 해당부분을 투명처리한것만 봐도 알수있듯이 소니가 볼륨노브에

얼마나 자부심을 가지는지 엿볼수 있습니다.


아날로그 볼륨단은 곧 저항덩어리라 볼수 있는데 앰프에서 최대로 증폭된 신호를 저항을 조절하여 듣기좋은

수준으로 깍아내리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볼륨단의 질은 곧 음질과 직결이 될수 있습니다.


이 크기부터 다른제품과 확 다른 볼륨노브는 볼륨단으로 유명한 알프스사의 제품 중에서도 

특별이 이 제품만을 위해 제작된 특수 주문제품입니다.


황동 재질위에 구리를 입힌후, 다시 그 위에 금으로 마무리한 사치품인 셈이죠.

총 300단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성능뿐만 아니라, 묵직하면서도 부드러운 노브 조작감은 개인적으로 

DMP-Z1의 모든부분중에서도 가장 구매욕을 자극합니다.


4 고출력 및 고음질을 실현하기 위한 아날로그 증폭기 

(Texas Instruments 제 TPA6120A2)


배터리 구동기기에서 고음질과 동시에 높은 헤드폰 출력을 실현하기 위해 

고품질의 아날로그 앰프 IC를 탑재하였습니다.


5 고강성과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신개발의 H형 알루미늄 섀시


고품질 사운드 퀄러티를 실현하기 위해 프레임을 일체화시킨 H형 알루미늄 섀시에 의한  

모노코크 바디를 실현하여 진동에 의한 음질의 영향을 최대한 배재하고 

고화질 헤드폰 청취에 요구되는 선명하고 강력한 저음재생을 구현합니다.


6 고해상도 음원재생에 대응


256GB의 내장 메모리와 마이크로 SD카드 이외에, USB단자 (Type-C)에 연결된 PC등의 음악재생에 대해

최대 DSD 11.2MHz, PCM 384kHz /32bit의 고해상도 음원재생에 대응가능합니다.


7 최신 음성포맷 MQA


파일크기를 WAV에 비해 몇분의 1정도의 용량으로 줄이면서도 스튜디오 마스터와 동등한 퀄러티를 구현하는

MQA (Master Quality Authenticated) 와 호환이 가능합니다.


8 DSD 리마스터링 모드


입력된 모든 PCM 음원을 5.6MHz 상당의 DSD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DSD 리마스터링 모드라고 합니다.

이것을 통해 음이 자연스럽게 확산된다는 느낌을 청취시에 받을수 있습니다.


9 원하는 장소 어디서든 고음질의 음악을 청취


배터리와 대용량의 커패시터 덕분에 AC전원이 없이도 플레이어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두고 고음질로 

음악을 즐길수 있습니다.


카페나 호텔내에서 이동중에도 고급스러운 캐링 케이스와 함께 (제품파손 방지) 들고다니면서 즐기면 좋습니다.



10 최고의 팀워크, 소니헤드폰 MDR-Z1R

동일한 계열의 시그니처 헤드폰인 MDR-Z1R 역시 마찬가지로 저역의 재생능력에 강점을 둔 헤드폰입니다.
가령 소니의 다른 워크맨인 NW-WM1Z와 MDR-Z1을 매칭해서 청취해보면 저음역대의 양감과 타격감에
초점이 맞춰지는 성향을 보입니다.

하지만 DMP-Z1와의 조합은 이와는 다른양상을 보입니다.
소니끼리의 조합에서 조금 과도하가도 느끼던 저역의 양감이 줄어들며 입맛에 들어맞는 적당한 음역대의
밸런스가 맞춰집니다.

다시말해 이제까지의 소니기기들이 구현해내던 밸런스와 달리 저음역이 줄어들고 고음역이 확대되었죠.

유명 팝스타 Katy Perry 의 Hot N cold 를 들어보면 고음역대의 보컬이 더 분명하게 들리는 느낌을
받을수 있습니다.
물론 테크노음도 동시에 정확하게 들립니다.



사양

  • 크기 : 3.1인치 (7.8cm)
  • 해상도 : WVGA (800 x 480도트)
  • 패널종류 : TFT 컬러 LCD
  • 터치스크린 : 지원
  • 외부메모리 : 마이크로SD카드 x 2슬롯 (microSD, microSDHD, microSDXC)
  • 사용 주파수 대역 : 2.4 GHz대 (2.4000 GHz ~ 2.4835 GHz)
  • 변조방식 : FHSS
  • 지원 블루투스 프로파일 : A2DP, AVRCP
  • 대응코덱 (전송) : SBC, LDAC, aptX, aptxHD / (수신) : SBC, LDAC, AAC
  • USB DAC 기능 : 지원
  • 음악 재생모드 : 임의재생 / 반복 해제 / 1곡 반복 / 전곡반복 / 전체범위 재생 / 선택영역 재생
  • 음질 설정 (음악 재생중에만 유효) : 소스 다이렉트 / 10밴드 이퀼라이저 / 동적 노멀라이저 / 풀리 이진 프로세서
  • 전원 / 내장 배터리 : 내장 리튬 이온 충전지 (충전 전원은 동봉된 AC어댑터를 사용)
  • 충전 시간 : DC-IN 충전 (약 4시간)
  • 배터리 지속시간 : MP3 약 10시간 
  • 외형 치수 : 약 138mm x 68.1mm x 278.7mm
  • 질량 : 약 2,490g
  • 메모리 용량 : 256GB
  • 대응 OS : Windows 10 / 8.1 / 7 , macOS v10.10 ~ 10.13










Hi - Fi 란 High Fidelity 의 약자로 원음을 최대한 왜곡없이 재생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내장사운드 카드의 음질이 좋아진것은 사실이나 전문적인 DAP (디지털오디오 플레이어)와 

비교하면 아쉬운 점이 남아있습니다.


스마트폰에는 LTE 칩셋 외에도 다양한 무선통신 칩셋이 내장되어 있어 부품사이에 간섭이 일어나거나 음질에도

노이즈가 발생할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DAP 는 철저하게 음악감상만을 위해 설계되어 있어 노이즈가 대단히 적거나 없는편입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모든음악들을 정말 깨끗한 음질로 듣고 소장을 하고 싶다면 아직까지는 DAP 가 필수입니다.

이 DAP를 구입하시는 분들은 고음질을 제대로 감상하시는게 주목적인만큼 플레이어 (DAP) 못지않게

리시버 (이어폰, 헤드폰) 의 역활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어폰 역시 마찬가지로 최적의 음질을 구현하는 모델을 써야 DAP의 기능을 100% 이상 끌어올릴수 있습니다.


이런분들에게 최적인 DAP 3가지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FiiO X5lll


안드로이드를 품은 가성비 DAP로 알려져 있는 모델입니다.

따라서 스트리밍 앱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플레이어를 취향에 맞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퓨어 사운드모드와 일반 안드로이드 모드를 함께 제공한다는 점인데 퓨어 사운드모드를 사용하면

기본 음악 앱만 작동해 더 깔끔한 사운드를 구현합니다.


저장공간이 32GB로 고음질의 음원을 많이 담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나

듀얼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을 제공하여 확장성이 좋은편입니다.



2 Sony NW - WM1A


지난 2016년도에 출시된 모델로 현재까지도 꽤 인기있는 편입니다.

역시나 소니의 오디오 기술이 집약되어 있어 뛰어난 음질을 자랑하기 때문입니다.


사운드 구현을 위해 저저항 알루미늄 합금새시와 무산소 동 플레이트를 적용했으며 최상급의 대용량 (128GB)을 자랑합니다.


다른 DAP와는 달리 소니만의 음질 업스케일링 기술이 들어간 점도 주목할만한 점입니다.

DSEE HX라는 해당기능을 사용하면 MP3와 같음 압축음원에서도 손실된 고주파 고음영역을 복구해 

더욱 더 생동감 넘치는 사운드를 즐길수 있습니다.


JEITA 에서 표준으로 선정한 4.4mm 밸런스드 출력도 지원합니다.

4.4mm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감상하면 최적의 음질과 연결 안정성도 기대할수 있습니다.




3 아이리버 Astell & Kern A&Ultima SP1000M


이 모델은 아이리버의 Hi-Fi 브랜드 Astell & Kern 사의 최상위 라인업인 A&Ultima SP1000의 

미니사이즈에 해당됩니다.

사이즈도 작아짐과 동시에 용량도 256GB에서 128GB 로 작아졌지만 성능은 완전 동일합니다.


SP1000과 동일하게 일본 AshiKASEI 사의 프리미엄급 DAC인 AK4497EQ를 2개 탑재하여 

선명하고 생생한 사운드를 구현합니다.


CPU는 옥타코어를 탑재해 UI의 반응속도도 상당히 빠르며 부팅속도와 파일전송 및 처리속도도 우수한 편입니다.

오랜시간 디자인 부분에서 호평을 받았던 Astell & Kern 사 답게 디자인 완성도도 매우 우수합니다.


불규칙적으로 분할된 면을 지닌 천연석과 청금석을 결합해 라피스 블루컬러를 채택했고 각도에 따라 

어두운 컬러감의 세련미가 더해여 외관에서부터 고급스러움이 느껴집니다.


대부분의 음악 마니아층에게도 250만원 전후의 고가의 가격이 부담스러울수 있겠습니다. 

1. 블루투스 선택에 필요한 인사이트

요즘 음향기기에 있어 트렌드는 유선보다는 무선쪽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현대인이라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이나 블루투스로 접속가능한 이어폰이나 헤드폰은 
케이블의 번거로움에서 유저들을 해방시키고 자유로운 청취를 제공해주는 편리함이라는 매력때문에
많은 이들의 구매리스트에 올라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인기만큼이나 관련상품도 많아서 무얼 구매할지 망설여집니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야 할것은 착용감입니다.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착용방식을 잘 선택하면 이미 절반이상은 성공적인 선택이 될수 있습니다.

이어폰의 경우 주류는 넥 밴드형과 완전무선형 두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둘다 머리스타일을 망가뜨리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점이 좋습니다.
(헤드셋은 머리스타일이 구겨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가격을 들수 있는데 자신이 좋아하는 좋은음악을 좋은소리(잡음없는 완벽한 저중고음의 사운드)로
듣고 싶어하는 음악 마니아층을 위한 프리미엄 모델과 적은 예산으로도 충분한 만족감을 가져다주는
가성비 좋은 제품들도 소개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영감이 생겨 흥미가 있는 상품이 있으면 실제로 청음샾이나 일렉트로 마트같은곳에 가서
테스트 해보시는것을 권장합니다.

음질이나 착용감과 더불어 배터리의 지속시간이나 음성 코텍등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입니다.

또한 블루투스 사양은 통신거리나 속도가 올라간 5.0이 최신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 음악재생시
음질향상이 보장되는건 아닙니다.
만일에 오디오 성능을 더 중요시한다면 4.0 이후의 신제품을 선택하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



2. 좌우 독립형의 자유로운 완전 무선형

케이블이 전혀 없는 좌우 독립형 완전 무선의 최대 장점은 역시 편리성입니다.
그렇지만 이어폰부에 모든 부품을 집중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높은 난이도의 설계가 요구되며
완성도에 있어서는 아직까지는 여러 호불호가 갈립니다.

이어폰부 사이즈나 배터리 지속시간, 좌우의 소리 끊김개선문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동등등
각 개발사들의 목적도 다양합니다.

개선할 점이 남아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욱 혁신이 기대되는 시장입니다.

2-1 노려야 할 가격대는?

  • 완전 무선을 처음접하시는 입문자들에게는 20만원 전후대를 살펴볼것을 권장합니다.

    아직은 형성된지 얼마 안된시장이라 브랜드의 수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그 중에서 일정수준을 넘어서는 퀄러티를 추구한다면 기본적인 디자인과 심플한 사용법, 콤팩트한 바디를

    고루 갖춘 모델을 선택하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 노이즈 캔슬링 (외부차단)이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의 호환성, 방수등의 스포츠 호환성, 터치 센서 등의

    기능을 추구하신다면 25만원 이상 ~ 50만원 사이대에서 보시는것을 권장합니다.

    음악을 감상하는 스타일이 개개인마다 틀리겠지만 중저음을 추구하신다면 

    최근에 출시된 젠하이저의 모멘텀 TWS가 이 가격대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3.넥 밴드형

케이블을 목에 걸어 사용하는 넥 밴드형은 가장 보편적인 스타일로 쓰입니다.
헤드셋보다 착용감이 편안하고 완전무선 이어폰에 비해 분실걱정도 거의 없습니다.

이 타입에서 가장 중요하게 봐야할것은 바로 배터리 지속시간이며 음악을 듣지 않을때의
디자인이나 휴대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3-1 노려야 할 가격대는 ?

  • 리모콘이나 클립등이 부착되어 있는 간단 구성의 아이템으로 만족하실 분들은 15만원 ~ 20만원 사이대에
    형성된 제품을 살펴보시길 권장합니다.

    하지만 디자인이 심플하고 어느 모델이든 착용감이나 휴대성 측면에서도 완성도는 다소 낮은 편입니다.
    일정한 수준의 퀄러티를 추구하신다면 이 가격대에서는 신뢰할수 있는 브랜드의 제품을 선택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 편안한 착용감에 디자인까지 추구하신다면 25만원 ~ 50만원대의 제품에서 살펴보는게 맞습니다.

    또한 노이즈 캔슬링 (외부차단), 스마트폰과의 연계성등 음질뿐만이 아니라 기능면까지 고려한 제품을 

    추구하신다면 이 가격대에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4.헤드밴드형

헤드폰의 경우 이어폰보다 드라이버나 배터리 등이 차지하는 용적이 크기때문에 소리나 기능면에서
브랜드마다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지게 됩니다.

반대로 말하면 그만큼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찾는것이 어렵다는 뜻입니다.

우선은 경쾌함이 특징인 온이어나 차음성의 어라운드 이어, 다음으로 디자인과 기능별로 취향에 맞는 
아이템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4-1 노려야 할 가격대

  • 예전에 블루투스라고 하면 음질은 다소 떨어진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국내외 대기업 브랜드에서
    다채로운 컬러와 알기 쉬운 음질 튜닝을 한 아이템이 15만원대의 헤드셋치곤 저렴한 가격대에 형성되어
    있으니 음악감상용으로만 쓰실 분들은 이 가격대에서 선택하셔도 무방합니다.

  • 압도적인 조용함을 추구하고 표면에 레저나 메탈까지 입힌 장인정신이 느껴지는 제품을 원하신다면
    55만원 전후대에서 찾아보시길 권합니다.

    다만 대응코텍이 천자만별이기 때문에 고해상도 사운드를 원하신다면 
    세부스펙을 반드시 체크해보셔야 합니다.

5. 그 밖에 알면 좋은 블루투스 관련 용어

  • HFP 

Hands - Free - Profile 의 약자로 스마트폰과 조합시켜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의 약자로 스테레오 음성의 송수신을 뜻합니다.


  • AVRCP 

Audio / Video Romote Control Profile 의 약자로 재생이나 곡 송신 등 리모콘 조작을 뜻합니다.


  • SBC 

표준코덱을 지칭하는 말로 16bit / 48kHz 의 재생에 대응하며 고음역의 데이터를 줄이기 쉽습니다.


  • AAC 

역시 마찬가지로 16bit / 48kHz 의 재생에 대응하지만 고음역의 데이터를 줄이기는 어렵습니다.


  • aptX 

더욱 고품격 전송이 가능한 코덱으로 16bit / 48kHz 의 재생에 대응합니다. 

무엇보다도 SBC보다 음질적으로 우위에 있으며 시간지연도 적은편입니다.

  • LDAC

고해상도 상당의 음악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고음질의 코덱입니다.

24bit / 96kHz 의 재생에 대응하며 SBC의 약 3배의 정보량을 전송할수 있기에 음질이 상당히 높으며 
소니가 주로 이 코덱을 많이 채택하기로 유명합니다.

  • aptX HD 

24bit / 48kHz에 대응하며 역시 마찬가지로 SBC보다 음질적으로 상당히 우위에 있으며

타임지연도 적은편이라 앞으로의 표준화가 기대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