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을 하자면 암호화폐를 법정화폐 (미국달러) 와 연동시켜
가격변동성을 완화하고 신뢰와 안정성을 강화하여 암호화폐상용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생겨난 것입니다.
에스토니아 정부가 유럽중앙은행의 ICO를 금지시키자 정부차원에서 에스트코인 대신에 유로화와 연동시켜
유로에스트코인발행을 연구중인것과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법정화폐와 굳이 다른점을 찾는다면 수수료 없이도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작년 12월에 페이스북이 송금의 용도로 미국달러에 연동되는 이 스테이블코인을 개발하고 있다고 천명하였습니다.
차라리 페이스북은 스테이블코인보다는 자체코인(페이스북코인)을 개발하여 발행하면 페이스북내에서는
스테이블코인때보다도 몇배로 돈을 벌수 있지 않을까요?
작년 2018년 4월 마크저커버그는 개인정보 유출에 관한 논란으로 청문회에 출석한바 있습니다.
좋아요 버튼을 한번 눌렀다가 페이스북 5천만명의 성향정보가 트럼프 캠프의 대선전략에 참여한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라는 업체에 불법 유출이 되어 다음달 5월에는 유럽의 청문회에까지 출석해야만 했습니다.
결국에는 영국의 채널 4뉴스가 몇개월간의 잠입취재끝에 밝혀낸것을 탐사보도 시리즈 '데이터,민주주의,더러운술책'
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방영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렇듯 페이스북은 충분히 정치적으로도 쓰일수 있는 기업 (그것도 글로벌하게)이기에
자체적으로 코인을 발행하는것보다는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려는것으로 보입니다.
페이스북은 거의 10억인구가 사용하는 범세계적인 SNS입니다.
알리바바가 사용자가 수적으로 조금 더 많을지는 모르겠지만 90% 이상이 중국인이고 위안화 혹은 위챗같은 메신저에 연동되더라도 중국이라는 한 나라안 (더 쳐줘도 홍콩, 대만까지) 에서만 통용될수 있는 정도에 머물것입니다.
하지만 페이스북은 가입자 대부분이 전세계에 퍼져있으며 인종, 민족을 가리지 않고 포용할수 있습니다.
이런 글로벌적인 강점을 지렛대로 삼고 미국달러와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면 비트코인처럼 지나친 가격변동에 휘둘릴 필요도 없는 코인의 편리함과 법정화폐의 안정성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으면서 글로벌 소셜미디어로
입지를 단단히 굳히겠다는것이 현재 페이스북이 구상하고 있는 블록체인시스템입니다.
현재 페이스북 가입자가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이 아닌 인도입니다.
IT시장에서 마지막 황금주머니와도 같은곳인 인도는 페이스북이 사활을 걸고 사업을 벌이려고 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페이스북은 이미 인도에서만 월 2억명 이상이 이용하는 왓츠앱을 지난 2014년 인수했으며, 신용화폐에 가치를 연동해
고정한 스테이블코인을 왓츠앱을 통해 보낼수 있게 하는 사업계획을 구상중에 있습니다.
이런사업은 인도에서 처음시작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인도정부가 암호화페에 대해 아직까지는 폐쇠적인 입장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앞으로의 페이스북이 어떤행보를
보일지 매우 흥미진진한 일이 되겠습니다.
'스마트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큰의 증권화가 바꿔놓을 블록체인의 미래 (0) | 2019.04.07 |
---|---|
스타벅스커피가 소셜미디어에서 성공할수밖에 없는 이유 (0) | 2019.04.06 |
정부차원에서 블록체인시스템을 구축하는 에스토니아 (0) | 2019.04.05 |
차세대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 리플코인(XRP) (0) | 2019.04.04 |
최초의 SNS기반하의 암호화폐인 스팀잇과 스팀의 발전가능성 (0) | 2019.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