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한강신도시 운양역 정류장(위)과 김포도시철도

 

이제는 제법 도시로써의 모습을 갖춘 김포시입니다.

유입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났지만 그에 걸맞는 교통인프라는 갖추지 못한상태에서 정부는 3기신도시까지

너무 성급하게 발표한것이 아닌가 싶네요.

 

그나마 김포한강신도시는 다른2기신도시들 (동탄, 파주운정, 검단) 보다는 그나마 상황이 제일 양호합니다.

다다음달 7월 27일에 김포도시철도가 개통되면 그나마 상황이 나아질꺼라고 보지만 현 상황을 보면 

정말로 우려스럽네요.

 

운양동에서 강남역을 직통으로 이어주는 M6427번과, 서울역으로 가는 M6117번 광역버스는 출퇴근시간

정말 지옥을 방불케 합니다.

버스를 2~3번 놓치는 경우도 다반사일정도로 수요가 엄청난 이곳에 단 2량짜리 경전철로 감당할수 있을지

벌써부터 걱정이 앞섭니다. (미래를 생각해서 4량으로 했다면 더 좋았겠죠)

 

김포도시철도가 상업운행을 시작하면 장기역, 운양역은 출퇴근시간대에 9호선 강남구간 뺨치는 혼잡이

불보듯 뻔할테고 김포공항역은 김포한강신도시에서의 추가유입으로 9호선 급행열차를 한번에 못타는

상황이 벌어질수도 있겠습니다.

 

동탄신도시 주민인터뷰(위)와 GTX노선도

 

동탄신도시의 경우 정말 상황이 심각합니다.

그나마 이미 있는 SRT노선을 활용하여 2021년 우선개통하려고 했던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은

전체를 동시에 완공해야한다는 조건때문에 2024년 이후로 연기된 상태입니다.

 

위에 주민분 말대로 차라리 기존에 분당선이나 신분당선을 지선으로 깔아 바로 밑에 동탄까지 연결하는게

훨씬 더 좋았을꺼라고 생각하는데 교통정책하는 사람들 정말 답답할 따름입니다.

 

송도신도시의 경우 100% 자급자족 국제도시로 계획되었으나 기업유치가 생각보다 잘 이루어지지 않았고

GTX B 노선은 이제 겨우 예비타당성 조사나 하고 있는 실정이라 언제 완공될지는 기약도 없습니다.

 

인천 북쪽의 검단지구는 아예 택지개발조차 완료가 안된 상태구요.

 

 

파주운정신도시쪽 예정되고 있는 지하철노선

 

파주운정신도시도 심각한건 매한가지입니다.

GTX A노선을 일산에서 연장하기로 결정된건 다행이나 아직 착공조차 제대로 안하고 있는 실정이죠.

저 위에 이미지대로 지하철이 완공되려면 아마 2030년은 가야할껏 같습니다.

 

광역버스에만 의지하거나 버스가 싫다면 배차간격도 엄청 긴 경의중앙선을 시내버스타고 가서 이용하는

방법말곤 없겠네요.

 

GTX A노선을 구간별로 나눠 운정 ~ 킨텍스 ~ 대곡구간까지만이라도 조기에 완공하면 대곡에서 경의중앙선 이용해서 서울 진입하는것이 가능하니 그나마 한결나아질텐데 왜 이런식으로 추진 안하는지 도통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3기신도시 발표

 

이렇게 2기신도시 교통대책도 제대로 구축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3기신도시 발표는

왜 서두르는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저 위에 두곳을 보면 고양창릉지구는 무덤이 많아 개발이 가능한 지역인지 의문이 듭니다.

부천 대장지구는 김포공항과 엄청 가까워 활주로 방향선상에 있는 화곡동이나 신월동 뺨치는

소음이 예상될텐데 입주자가 과연 몇이나 될까요?

 

월곶판교선과 신안산선

 

제가 살고있는 인천논현지구도 수인선이 있긴하지만 서울로 진입하는데 전혀 관계도 없는 노선이고

강남이나 신촌, 서울역 등지를 가기위해 광역버스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3기신도시 발표하고 추진할 여력과 재정으로 2기신도시 교통대책마련이 절실합니다.

이미 추진하고 있는 노선인 월곶판교선이나 신안산선이라도 조기착공이 이루어지면 좋겠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