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분석기반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페이스원은 외식, 자동차, 식음료, 소매, 서비스, 기술분야에서 상위 75개
브랜드에 대한 조사 (대체적으로 페이스북의 좋아요 혹은 넷베이스 평판)를 실시한 결과 스타벅스가 당당히 1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서비스업체들을 압도하는 스타벅스의 소셜미디어에서의 성공은 그냥 이루어진것이 아닙니다.
이런 성공을 위헤 스타벅스는 웹페이지, 페이스북페이지 개설, 텔레비전광고를 개인 및 고객들이 스타벅스라는
브랜드와 맺어지는 각각의 경험에 주안점을 두기 시작했습니다.
예를들어 스타벅스의 페이스북 페이지는 방문자의 커피취향과 개인적인 스토리로 어필하여 관심을 이끌어냅니다.
개개인의 경험과 고유한 취향은 스타벅스가 소셜미디어에서 독특하게 보일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참여하는
각각의 소셜플랫폼에 대해 사려깊고 신중한 접근법을 시도하는것 역시 마찬가지로 남다른 비결입니다.
이렇게 스타벅스는 고객들을 다른커피매장에 가려는 사람들까지 (전부는 아니지만) 자신들의 브랜드로 끌어당깁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스타벅스의 소셜미디어 팀원들은 새로운 플랫폼에서 생길수 있는 기회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브랜드의 본질인 인적네트워크와 부합하는면이 있는지도 판단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핀터레스트에서의 스타벅스 브랜드 구축입니다.
핀터레스트가 막 인기를 끌기 시작했을 무렵에 재빨리 다가가 친근한 이미지를 심어주고 싶었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사려깊고 신중한 접근법에 대한 중요성을 잊지 않고 무려 6개월동이나 런칭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을정도입니다.
핀터레스트에 들어가보신분들은 다 알겠지만,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방법이나 무례하지 않으면서도 자신 및 브랜드를
과시할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다는걸 깨닫게 됩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핀터레스트에도 커뮤니티의 관심을 받는데 필요한 접근법이
있었던 덕분에, 스타벅스라는 브랜드의 본질을 표현하는 방식에 집중한 결과 '스타벅스의 사랑(Starbucks Loves)'
이라는 주제로 핀터레스트를 시작했습니다.
주제에 걸맞게 커피, 그 안에서의 음악, 영감과 같은 콘텐츠가 방대하게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스타벅스라는 브랜드안에서 생산되는 콘텐츠들이 고객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됩니다.
개개인의 스타벅스에서의 경험, 고유취향, 사려깊은 플랫폼 선택, 플랫폼 공동체에서의 존중등을 소셜미디어안에서
구축함으로써 스타벅스는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 주력하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식음료 기업들이 메시지나 제품만 밖으로 들이대는 반면에 스타벅스같은 회사들은 고객을 수동적으로
제품이나 구매해줘야하는 타겟으로 취급하는 대신에, 브랜드안에서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능동적인
참가자로 대우해주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의 바이럴 효과도 스타벅스의 금전적 이익뿐만 아니라 자산가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는데, 예를들면 페이스북에서 누군가가 어떤 회사의 (서비스나 제품)을 좋아하여 좋아요를 눌러주거나
댓글을 달게되면 그 사람의 친구, 가족, 팔로워에게도 그것이 표시됩니다.
또 사람들이 소셜에서 어떤 브랜드의 게시물을 공유하게된다면 브랜드의 도달율이 광범위하게 확대됩니다.
페이스북 유저들은 자신의 친구들 및 팔로워들에게 자신이 스타벅스에 들러 커피도 마시고 음악도 들으면서
사람들과 수다도 떨고 이벤트까지 즐겼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렇게 되면 페이스북에 연동되어있는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유저들까지 (실제 페이스북 유저 대부분이 이런형태)
그런게시물을 볼수 있게 됩니다.
여기에 유료디지털광고를 소셜미디어와 통합시켜 정기적인 피드로 내보내는 메세지 (페이스북의 뉴스피드)
도 볼수 있게되어 바이럴마케팅의 효과를 톡톡히 누리게 됩니다.
이런 소셜마케팅 덕분에 스타벅스는 대다수 많은 브랜드의 꿈인 디지털지출을 투자수익으로 전환시키는데
성공한 것입니다.
이것은 비단 스타벅스뿐만 아니라 이세상 모든 회사들에게 적용될수 있는 좋은사례라고 확신합니다.
기업마다 커뮤니티 관리, 브랜드구축, 디지털을 통한 마케팅에 전력을 쏟을 담당자 또는 전담팀이 있어야
하겠지만 그중에서도 디지털을 통한 온라인마케팅은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브랜드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도달률을 광범위하게 증폭시키는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요소가 되겠습니다.
'스마트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형 토큰거래 플랫폼의 앞날 (0) | 2019.04.09 |
---|---|
토큰의 증권화가 바꿔놓을 블록체인의 미래 (0) | 2019.04.07 |
페이스북과 블록체인시스템이 결합된 페이스북코인의 발행가능성은? (0) | 2019.04.05 |
정부차원에서 블록체인시스템을 구축하는 에스토니아 (0) | 2019.04.05 |
차세대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 리플코인(XRP) (0) | 201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