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시스템의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완벽에 가까운 보안성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이 탄생한 이후 이 장점이 무색하게 느껴질정도의 큰 해킹사태가 일어나고야 말았습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유명한 해킹사건으로 남아있는 DAO 사태입니다.
DAO란 탈중앙화되어있는 자율조직 프로젝트로써, 이더리움이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지난 2016년 3월에
직접 추친하여 1억 5천만 이상의 이더리움을 끌어모았던 전력이 있습니다.
이 DAO 시스템이 해커들의 공격대상이 된것입니다.
2016년 6월 해커들은 DAO 계약의 취약점을 찾아내어 약 360만 이더리움(당시가격으로 640억원) 을 훔쳐내
자신들의 지갑으로 전송시킨것입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해커들이 훔쳐간 이더리움이 출금되어 현금화로까지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당시 해커들은 무한나누기라는 방식으로 이더리움 인출을 시도했는데, DAO규정에 나누기를 통해 인출한
이더리움은 출금되기까지 48일이 소요된다는 규칙이 있었고 다행히도 사태발생 27일만에 이더리움 개발자들이
이 움직임을 잡아내 조치를 취해 해커들의 인출을 막았습니다.
어찌되었든 이 해킹사태는 이더리움 생태계 전체에 큰 충격이였고, 이더리움 가격이 이 시기 순식간에 급락
하는 수모까지 겪었습니다. (당시 US달러기준 21달러에서 13달러까지 추락)
그 이후 이 해킹사태를 방지하기위해 소프트포크와 하드포크 2가지 방식중에서 고민하기 시작합니다.
일반은행이 이런사태를 겪었다면 해커가 조작한 거래내역을 다 삭제하고 모든것을 원래대로 돌려놓는식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마무리를 지을것입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시스템에서는 해당지갑을 소유자의 키가없는한 그 누구도 건드릴수 없습니다.
그래서 개발자들이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2가지를 놓고 고민해야만 했습니다.
먼저 소프트포크 방식으로는 DAO와 해커들이 훔쳐간 지갑 사이의 이동을 정지하는 방법입니다.
기록은 그대로 놔두되 영원히 빼가지만 못하게 막는 방식입니다.
또다른 방법인 하드포크는 훔쳐간 이더리움을 되찾아오는 일종의 장부롤백(과거로 돌리기) 방식입니다.
처음에 이더리움측은 소프트포크 방식으로 해결을 보려고 했으나 해당시간대에 DDOS공격이 제보되는 바람에
결국 취소하고 피해자들이 이더리움을 돌려받는 하드포크방식으로 입장을 바꿔 2016년 7월 20일 하드포크를
시행합니다.
이렇게 해킹전 발행량수의 이더리움으로 돌리는 과정에서 이더리움 커뮤니티 회원들의 10%가량은 하드포크되어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이더리움을 반대하고 기존 이더리움을 계승하는 이더리움클래식에 잔류를 희망합니다.
해킹사건을 계기로 탄생한 이더리움클래식은 2016년 7월 24일 암호화폐거래소 폴로넥스에 재빨리 상장되어
공식적으로 거래가 시작됩니다.
이더리움클래식(ETC)은 이더리움에서 하드포크되어 발행량이 한정되었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기술적인 부분에서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더리움클래식에 기반한 분산응용프로그램(DAPP)을 개발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블록체인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고찰이 시작됩니다.
블록체인의 기본철학은 그 누구도 위조 및 변조할수 없는 신뢰시스템인데 해킹을 당했다고 해서 임의로 기록을
건드리면 본질을 훼손하는것이 아니냐며 기존 사용사들의 반발이 이어진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기존 이더리움 (해킹이전)의 블록체인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는 사용자들로 인하여 이더리움클래식이
탄생하고 해킹이후 바뀐시스템의 이더리움(ETH)이라는 두개의 암호화폐로 나뉘게 된것입니다.
최근 이더리움클래식(ETC)는 칼리스토코인(CLO)과의 에어드랍이라는 큰 호재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에어드랍이란 이더리움클래식을 소유한 사람들이 칼리스토코인과 1:1로 교환할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이런 호재가 맞물려서인지 3월말부터 이더리움클래식시세가 급상승하는것이 보입니다.
국내 거래소(빗썸, 업비트 등)에서 이더리움을 소지하고 계신분들은 에어드랍이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각 거래소의 공지를 세부적으로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거래소에서 안해준다면 개인적으로 이더리움지갑을 만들어서 거래소의 ETC를 출금하여 개인지갑주소로
이동시켜놓고 에어드랍을 시도하는것이 제일 확실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을 보유하고 계신분들은 위에 호재를 잘 활용하시면 좋을껏 같습니다.
추가로 이더리움 코인(ETH)에 관하여 궁금하신분들은
https://premiumsound.tistory.com/56?category=856902
스마트계약의 시발점, 2세대 암호화폐 이더리움(ETH)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거의 매순간마다 계약이라는것을 성사시키며 살아갑니다. 예를들면 집을 사고팔때,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때나 일을 시작하고 관둘때, 도매업체에서 물건납품을 할때 등등 일상생활에서..
premiumsound.tistory.com
이곳으로 들어가셔서 참고하시면 됩니다.
'스마트한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의 업그레이버전, 라이트코인(LTC) (0) | 2019.04.16 |
---|---|
암호화폐의 선두주자, 비트코인(BTC)원리와 전망 (2) | 2019.04.14 |
스마트계약의 시발점, 2세대 암호화폐 이더리움(ETH) (1) | 2019.04.11 |
이오스(EOS)코인은 과연 이더리움을 대신할수 있을까? (0) | 2019.04.11 |
리플과 대비되는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 스텔라루멘(XLM) (0) | 2019.04.09 |